개발 일기

AWS - Route 53 본문

인프라/AWS

AWS - Route 53

이건욱

Route53을 통해서는 서버의 IP주소를 가지고 도메인을 통해서 접근 할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.

 

[순서]

1. 웹 브라우저에 gunwooklee.com 입력하고 검색을 합니다.

2. 웹 브라우저는 근처에 DNS 서버에 gunwooklee이라는 도메인에 실제 IP주소를 가져옵니다.

3. 만약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모른다면 다음에 있는 DNS서버에 요청합니다.

4. 이 내용을 반복하여 DNS 서버가 IP 주소를 알고 있으면 해당 서버 IP를 반환합니다.

5. 웹 브라우저는 이 IP 주소를 요청을 합니다.

 

따라서 이러한 DNS 서버에 도메인을 등록을 하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가 Route53입니다.

 

[실습]

만약에 도메인이 없으신다면 [Domains] - [Registerd domains] 을 통해 생성 혹은 다른 서비스에서 먼저 생성을 합니다.

다른 서비스에서 생성을 했다면 호스팅 영역을 생성을 한 후에 해당 도메인을 생성한 서비스에 가서 네임서버 4개를 등록을 한 후에 와야 합니다!.

 

그럼 다음으로 호스팅 영역으로 들어 갑니다.

다음으로 이제 호스팅 영역을 생성을 한후 해당 도메인을 선택해서 들어갑니다.

 

그런 다음에 레코드 세트 생성을 합니다.

이제 값에 PUBLIC IP을 입력하시고 생성하시면 됩니다!.

 

ELB 을 등록하고 싶은 경우에는 별칭을 예라고 선택한 뒤에

아래에 ELB을 선택하시면 됩니다!.

'인프라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AM ?  (0) 2020.10.23
AWS - Elastic Load Balancing  (0) 2020.05.04
Auto Scaling  (0) 2020.04.20
EC2 - (2)  (0) 2020.04.20
EC2 ?  (0) 2020.04.05
Comments